인플레이션7 금 가격 현황 - (인플레이션 헤지) 금 가격이 역사상 최고점을 갱신하면서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출처: 인베스팅닷컴 왜 최근에 금 가격이 이렇게 오르고 있을까요?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온다는 것은 화폐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뜻입니다. 무인도에 100개의 사과가 있고 100장의 지폐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100명의 사람들이 있었죠. 그러면 1개의 사과 가격은 1장의 지폐로 살수 있었을 것입니다. 근데 무인도에 인구가 늘어나 지폐를 200장을 만들었습니다. 근데 사과는 100개밖에 생산이 되지 않으니 1개의 사과 가격은 2장의 지폐가 되는 것입니다. 신용 자본주의에서 화폐는 지속적으로 불어납니다. 심지어 디플레이션이어도 말이죠. 자료: 일본 M2 공급량 일본의 일반 화폐 공급량입니다.M2 디플레이션의 .. 2024. 1. 15. 미국 국채 금리가 5%가 된 지금, TLT 투자는 합당하다 08년 위기 전에도 금리는 단기간에 급상승 하고 결국 금융위기가 왔습니다. 저는 모든 경제가 지금의 5% 금리를 버티지 못하는 시점이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장기채 투자는 지금 포트폴리오에서 무조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계속 사 모으고 있습니다. 미국 국채 금리가 5%가 된 지금, TLT 투자는 합당하다 미국 국채 금리가 5%를 돌파하면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기 국채 ETF인 TLT에 투자하는 것은 합당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TLT는 무엇인가? TLT는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의 약자로, 미국 국채 중 만기가 20년 이상인 국채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TLT는 미국 국채의 가격과 금리 움직임에 연동되며,.. 2023. 10. 24. 물가는 내려오지 않는다 물가상승률의 함정 9월 소비자물가 5.6%, 소비자물가가 전월대비 상승률이 둔화되었습니다. 그런데 에너지, 농산물 가격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는 4.5% 상승하여서 8월 4.4% 대비 오히려 상승하였습니다. 머 일단 그래도 소비자물가지수가 고점을 찍고 떨어지는 듯 보여서 다행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은 착시효과가 있습니다. 떨어지는것은 물가상승률이지 물가 자체가 아닙니다. 물가상승률이 떨어진다고 물가가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상승폭이 둔화된다는 뜻이다. 쉽게 말해서 1,000원이던 라면이 1,200원이 되면 물가상승률은 20%입니다. 근데 내년이 되어서 라면이 계속 1,200원이라고 하면 물가상승률은 0%입니다. 물가의 레벨 내년이 되어서 물가상승률이 0%라고 하면 과연 고물가 시대가 아.. 2022. 10. 5. 한국 8월 cpi 5.7%, 물가 정점? 소비자 물가 정점을 지났나? 한국 소비자물가가 6월 6.0%,7월 6.3%을 지나 8월 5.7%로 하락하면서 물가가 정점을 지났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한다. 하지만 과연 물가가 정점을 지났을까? 이 수치를 중앙은행이 좋아하는 근원물가의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현재의 물가 하락은 에너지 가격의 하락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알 수 있다. 원유 가격을 보면 확실히 6월을 정점으로 하여 계속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물가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 가격이 하락함으로써 소비자물가가 하락하는 것도 당연히 있을 수밖에 없는 일이다. 하지만 농산물이나 석유 같은 경우는 가격 변동 폭이 심함으로 중앙은행은 이러한 항목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를 주시하고 있다. 왜 작년에 소비자물가가 한창 오를 때에는 근원 .. 2022. 9.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