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불씨
영국 10년 금리가 4.5% 까지 치솟았습니다. 영국의 총리가 단행한 감세정책 때문에 파운드화가 폭락하고 국채 금리가 튀고 있습니다. 이에 지난달 말 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고 있는 와중에도 양적완화를 진행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14일 종료를 앞두고 불씨가 꺼지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에 영국 은행 총재가 11일 연설에서 추가적으로 시장개입을 연장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자 금리가 더욱 요동치는 모습입니다.
이탈리아 재정위기 급
영국의 4.5% 금리가 단순 수치로 봤을때 어떠한 위험 정도인지 모를 수도 있어 여러 나라의 금리를 가져와 봤습니다. 일단 올해 들어 미국이 기준금리를 상승함에 따라 기타 국가들의 국채 수익률은 따라서 상승하기 마련입니다. 때문에 저희가 봐야 하는 것은 상승하는 추세가 아닌 상승하는 폭입니다. 독일의 10년 국채금리는 2%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현재 영국의 10년 국채 금리는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이탈리아와 비슷한 수치입니다. 이를 통해 현재 영국이 처한 위기가 얼마나 심각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생 상품의 위기
지난주에는 크래딧 스위스의 위기 관련해서 뉴스를 많이 접했을 것입니다. 이번 주 뉴스에 많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은 영국 국민 연금입니다. 이는 크레디트 스위스와는 비교도 안 되는 규모입니다. 한 나라의 연금기관은 마켓에서 가장 큰 기관입니다. 하지만 국채에 연동된 LDI파생상품에 투자한 영국 국민 연금이 약 2500조 원 규모의 마지콜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합니다. 한국의 1년 GDP 총액이 2000조가 조금 넘습니다. 2500조 면 얼마나 큰 규모인지 감이 오지도 않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미국의 연금보험 펀드도 약 2600조 규모의 마진콜 위기에 놓여있다고 합니다. 만약 이 위기가 터진다면 역대급 위기라 어떤 후폭풍이 올지 예상이 되지도 않습니다.
위기 발생 원인
단기적으론 영국의 감세 정책 때문입니다. 지금 인플레이션 때문에 영란 은행은 금리를 인상하는 정책을 펴고 있었는데 인플레이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재정에서 돈을 푸는 정책을 쓰면 인플레이션을 더욱 더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브렉시트 영향을 받아 임금 상승률이 가장 높은 영국에서 투자자들의 기대는 사라질수 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영국 국채를 매도하면서 탈출 러시 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런 시장 상황에도 굴하지 않고 감세 정책의 일부만 취소한 영국 정부가 대단할 따름입니다.
장기적으론 2008년부터 시작된 양적완화에 있습니다. 양적완화란 장기 국채 금리를 중앙은행이 지속적으로 구매해주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10여년 돈을 풀었는데 인플레이션이 단 한 번도 오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같은 상황이 반복적으로 지속되면 기억은 왜곡되기 마련입니다. 마치 한국에서 13년도 까지 부동산이 엄청난 불황을 겪었지만 20년부터 22년까지 부동산은 불패신화인 것처럼만 묘사된 것처럼 말입니다. 국채는 부동산이나 코인이나 주식보다도 가장 버블이 많았던 상품입니다. 무제한으로 사준다는 Back이 있었으니 말입니다. 그래서 많은 기관들이 대량으로 구매하고 또 래버리지를 통해 파생상품에 가입했습니다. 이것이 이번 위기를 불러온 화근이 되었습니다. 국채 금리가 이렇게 뛴 적이 없었으니 과거 10년의 기억의 왜곡에 당했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이후에 어떻게 진행될까?
오늘 12일 기준으로 영란 은행이 14일 종료 예정인 양적완화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의사를 조금씩 내비치고 있습니다. 하루만에 이야기가 달라진 것이죠. 하지만 시장은 아직 진정이 되지 않는 듯한 모습입니다. 이미 영국 국채는 5년, 10년 물이 역전되는 이상한 기류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14일 양적완화 종료를 연장하면 이번 사태는 조금 진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닙니다.
마치 유럽,일본,중국 어디가 먼저 터질지 마지막 싸움을 하고 있는 듯합니다. 안전하게 자산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경제 Wi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F 중국 부동산 위기 경고 2 - 금융위기 (2) | 2022.10.14 |
---|---|
IMF 중국 부동산 위기 경고 (2) | 2022.10.13 |
일본 환율 150원? (2) | 2022.10.11 |
실업률 3.5%, 나스닥 -3.8% (1) | 2022.10.08 |
자산가격은 당분간 오르지 않는다 (3) | 2022.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