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7 코스피 현황 - (2500선 무너지다) 1월 17일 코스피가 200일선을 지키지 못하고 2435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일본 증시와 뉴욕 증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많이 빠졌는데요. 그리고 사진에 보이는 빨간색이 S&P 500 선입니다. 보시면 거의 비슷하게 움직이다가, 1월 4일 기준으로 증시가 디커플링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이미지는 환율을 역으로 계산한 뒤 코스피 차트와 비교한 사진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다시피 현재의 코스피는 환율과 동기화되어 움직입니다. 즉 환율이 오르면 코스피는 내리고, 환율이 내리면 코스피는 오른다는 것입니다. 오늘 시장의 하락을 이끈 건 외국인의 1조 정도 되는 순매도였습니다. 현재 국내 시장에서 외국인의 포지션은 환율에 따라 기계적인 매수 매도를 한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2024. 1. 17. 일본 환율 150원? 곧 150원 현재 엔화의 달러 대비 환율은 145원입니다. 지난달 22일, 24년만에 외환시장에 직접 개입했지만 환율이 다시 145원으로 올라온 것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약세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총리인 기시다는 완화적 통화정책에 대해서 지지를 표명했다는 것입니다. 13일 미국의 물가지수가 발표되겠지만 시장의 컨센서스는 CPI는 낮아지나 근원 물가는 오른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미국 연준이 아마도 연말까지는 4.5%대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일본의 기준금리는 아직도 -0.1%입니다. 이러한 통화정책이 지속되는 한 연말까지 환율은 150원을 쉽게 넘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 부채 비율 일본의 국가 부채 비율은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이탈리아나 그리스보다도 훨씬 높습니다. 2차 세계.. 2022. 10. 11. 환율 1400원, 뉴 노멀 새로운 환율 밴드 한국 중앙은행의 개입(공식적으론 발표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환율이 다시 1400원을 넘어섰다. 늘 하는 이야기지만 외환위기나 금융위기처럼 시스템 위기가 와서 1400원을 넘은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추세로 즉 구조적인 문제로 이 문제를 봐야 한다. 단기적인 충격은 빠른 시일 내에 안정되지만 구조적인 문제는 새로운 환율시대를 열게 된다. 중국이 WTO에 가입한 2001년부터 수출 위주 국가인 한국의 환율은 빠르게 하락하였다(원화 가치 상승 - 위 차트 1번 영역). 환율은 그 나라의 경제상황을 반영한다, 2000년대 초 한국은 경제력이 좋았으며 이에 따라 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국면을 맞이했다. 반대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초고속 성장이 둔화되고 전 세계 경제도 빠른 사이클.. 2022. 9. 22. 나는 인플레이션이 좋다! 뼈를 깎는 고통 인플레이션이 40년 만에 최고 수준을 달성하면서 많은 소비자들의 생활이 어려워지고 있다. 아래 차트에서 볼 수 있다시피 미국 기준으로 소득 9만 달러(1억 2천+) 이상의 가계가 느끼는 부담은 기존의 28%에서 40%로 증가했지만 저소득층은 74%까지 증가하였다. 그래서 중앙은행도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여 물가를 빠른 시일 내에 안정화시키려고 한다. 하지만 나는 저소득층을 위해서가 아니라 중산층을 위해서라도 금리 인상을 더욱 과감하게 단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지금의 부채규모가 상당하여 보지도 못했던 큰 위기가 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경험해 보지 못한 위기 말이다. 그럼에도 방만한 통화정책으로 현재의 부의 양극화를 만들어낸 일들과 산소호흡기로 연명하는 금융경제는 무너질 때가 되었.. 2022. 9. 1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