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3 금리 인하시 자산가격 위험 금리 인하는 좋은 일? 과연 모든 시장 참여자들이 바라는 것처럼 연준의 금리 인하는 자산 가격 상승에 엄청나게 도움이 될까요? 매번의 경제 상황마다 다릅니다 또한 과거 10년 동안 연준은 시장이 위기가 있을 때마다 나서서 도와줬습니다. 거기엔 보험성 금리 인하, 양적완화가 아닌 양적완화 등 처음 보는 단어들을 사용해서 까지 말이죠. 물론 연준이 물가 때문에 당분간 금리를 인하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꼭 금리를 인하하는 날이 올 수밖에 없겠습니다만 그날은 설레는 날이 아닌 두려움의 날로 기억될 것입니다. 아래 차트를 보시면 2000년 닷컴 버블 시기, 미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때 자산 가격은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금리가 인하될때 자산 가격은 여지없이 .. 2022. 10. 18. 환율 1400원, 뉴 노멀 새로운 환율 밴드 한국 중앙은행의 개입(공식적으론 발표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환율이 다시 1400원을 넘어섰다. 늘 하는 이야기지만 외환위기나 금융위기처럼 시스템 위기가 와서 1400원을 넘은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추세로 즉 구조적인 문제로 이 문제를 봐야 한다. 단기적인 충격은 빠른 시일 내에 안정되지만 구조적인 문제는 새로운 환율시대를 열게 된다. 중국이 WTO에 가입한 2001년부터 수출 위주 국가인 한국의 환율은 빠르게 하락하였다(원화 가치 상승 - 위 차트 1번 영역). 환율은 그 나라의 경제상황을 반영한다, 2000년대 초 한국은 경제력이 좋았으며 이에 따라 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국면을 맞이했다. 반대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초고속 성장이 둔화되고 전 세계 경제도 빠른 사이클.. 2022. 9. 22. 경기침체 올 확률 80% 탄광 속 카나리아 - 장단금리 역전 장단금리 역적은 경기 침체를 사전에 예고하는 좋은 데이터이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10번의 장단금리가 역전되었고 그중 8번이 경기침체로 이어졌다. 2018년엔 전 세계 경제가 휘청이자 연준이 빠르게 통화정책을 피봇 하면서 경기침체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사실상 장단금리 역적은 말 그대로 위험신호로 확신해도 된다고 본다. 그렇다면 수치적으로 장단금리가 역전됐기 때문에 곧 경기침체가 온다는 확률적인 설명이 아니라 , 장단금리 역전이 어떠한 이유 때문에 이렇게 높은 이유로 경기침체를 불러오는지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한다. 돈의 값 만약 친구에게 급한 사정이 있어서 몇일만 몇백만 원의 돈을 빌린다고 가정해 보자, 상황에 따라 혹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일주일 지난 뒤 돈.. 2022. 9.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