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3 중국 PF 현황 - (중즈그룹 파산) 중국의 자산운용사인 중즈그룹이 지난해 11월부터 문제가 발생했고 결국 오늘 파산 신청이 수리됐습니다. 현재 중즈그룹이 자산을 다 팔고도 갚아야 하는 빚이 40조 가까이 된다고 하는데, 문제는 자산도 제 가격에 팔기 어려우니 갚아야 하는 빚은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러한 중국의 신탁 회사들의 총 3816조 원에 달해 프랑스 GDP와도 맞먹는 수치입니다. 그동안 6~10%의 재테크 상품으로 운영해 왔는데 부동산 침체기가 들어서면서 이 정도로 높은 금리를 지탱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6~10%는 폰지사기급 수익률이죠. 중즈그룹의 파산으로 40조의 빚을 갚아야 하는데, 자산운용사이다 보니 개인 고객이 많습니다. 그리고 전 중국에 약 20만 명의 고객이 있다고 합니다. 투자한 사람당 2억의 손해를 .. 2024. 1. 8. 중국의 위기가 시작된다 - 위안화 환율 위안화 환율 7위안/달러 중국 위안화 환율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현재 6.9위안/달러 정도에 거래 되고 있다. 경제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풔치'라는 단어를 가끔 들어봤을터인데 이것은 환율이 '7을 뚫는다'라는 단어를 번역한것이다. 근데 한국의 환율이 1350원을 넘어선 이때 중국의 환율이 7위안을 넘은것도 아닌데 무슨 위기까지 냐고 물어보면 그 상승속도가 너무 가파르기 때문이라고 말할수 있다. 1) 속도가 너무 빠르다 한국은 2021년 4월 미국 중앙은해이 금리 인상을 시사한 시점부터 환율이 오르기 시작했는데, 중국은 그 보다 늦은 2022년 4월(상하이 봉쇄) 부터 환율이 급속도로 오르기 시작하였다. 2020년, 한국의 환율이 1200원이였을때 중국의 환율이 7위안 이였던점을 감안하면 중국의 위안.. 2022. 9. 3. 미국 구인난 vs 중국 취업난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이 아직 진행 중이다. 기존의 무역 전쟁으로부터 기술 전쟁으로 전쟁터가 이전되었다. 또한 독단적인 노선으로부터 동맹과 함께 하는 진영의 싸움으로 확장되었다. 특히 코로나는 선진국에 충격이었다. 코로나 확진자나 사망자 때문이 아니라 위급 시에 휴지도 생산할 수 없을 정도로 국가의 제조시설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최첨단 기술은 미국이 하단의 간단한 조립공정만 했으면 하는 중국이 자꾸 반도체나 5G 등 최첨단 기술로 노선을 정하니 미국 입장에서는 이를 막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마치 일본의 성장을 플라자 합의를 통해 억제했듯이 , 하나 나 같은 사람도 아는 플라자 합의를 중국이 모를 수가 없다. 그러니 미국도 여태 시도하지 않았던 방법으로 중국과 대립하고 있는 중인 것이다. .. 2022. 8.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