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Will

금 가격 현황 - (인플레이션 헤지)

by 십디 2024. 1. 15.
728x90
반응형

금 가격이 역사상 최고점을 갱신하면서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출처: 인베스팅닷컴

왜 최근에 금 가격이 이렇게 오르고 있을까요?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온다는 것은 화폐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뜻입니다.

무인도에 100개의 사과가 있고 100장의 지폐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100명의 사람들이 있었죠.

그러면 1개의 사과 가격은 1장의 지폐로 살수 있었을 것입니다.

근데 무인도에 인구가 늘어나 지폐를 200장을 만들었습니다.

근데 사과는 100개밖에 생산이 되지 않으니

1개의 사과 가격은 2장의 지폐가 되는 것입니다.

신용 자본주의에서 화폐는 지속적으로 불어납니다.

심지어 디플레이션이어도 말이죠.

자료: 일본 M2 공급량

일본의 일반 화폐 공급량입니다.M2

디플레이션의 나라인 일본도 화폐 공급량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화폐 공급량이 오른다는 것은

1개의 사과를 살려고 들어가는 돈의 액수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근데 만약 인플레이션이 온다면,

이는 디플레이션 보다 더 빠른 화폐 가치의 추락을 의미하고

그렇다면 사과 같은 상품의 가격은 크게 상승하게 될 것입니다.

금은 제한적인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인플레이션 헤지로 많은 스마트머니들이 현재 투자하고 있는 것입니다.

금은 이자도 없습니다.

현재 중앙은행의 단기 금리도 5%입니다.

그런데도 이자도 없는 금에 왜 투자를 할까요?

우리가 알아야 하는 내용은 바로 실질금리입니다.

실질금리란 = 명목금리 - 물가 상승률인데요.

현재 실질금리는 1.76%로서 그렇게 높은 편도 아닙니다.

2% 이자보다는 그 이상의 상품 가격 상승에 배팅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인플레이션을 헤지하고 싶으면 포트폴리오에 금을 추가하십시오.

만약 인플레이션이 온다면

모든 생산량이 제한된 상품은 그 가치가 더욱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반응형